반응형
SMALL

200년 넘게 베일에 싸여있다 23일 오후 일반인에게 한시적으로 공개된 서울 성북구 성락원(城樂園). 19세기 들어 철종(재위 1849∼1863)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의 정원으로 사용됐고, 일본강점기에는 고종의 다섯째 아들인 의친왕 이강이 35년간 별저로 썼다. 이후 심상응의 후손인 고(故) 심상준 제남기업 회장이 1950년 4월 사들였다. /연합뉴스

한국가구 박물관이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며 화제다.  23일 200년 넘게 베일에 싸여 있던 서울의 비밀정원 성락원이 대중에 공개됐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국내 3대 정원으로 담양 소쇄원, 완도 보길도 부용동과 성락원 을 꼽는다. 

관람은 사전예약해야 하며 월·화·토요일 등 주 3회, 하루 7회, 회당 20명씩 이뤄진다. 하루 두 차례는 영어 가이드로 진행한다. 



명승 제35호인 성락원은 북한산 자락에 1만6000㎡ 규모로 들어서 있는 한국의 전통정원으로, 조선 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의 별장이었다.  조선 황족 의친왕이 35년간 별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서울에 위치한 몇 안되는 별서정원(자연에 귀의해 유유자적한 생활을 즐기려고 만들어 놓은 정원)으로,

암반과 계곡 등 기존의 지형을 최대한 살리고 가공을 최소화해 조선시대 정원의 정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성락원의 내원에 있는 자연 연못인 '영벽지'에는 추사 김정희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

23일 오후5시 현재 성락원 예약 전화는 계속 통화중으로 연결이 되지 않는다. 성락원을 소유 및 관리하는 가구박물관 사이트도 사람이 몰려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 고모씨(49세)는 "인터넷에서 예약에 성공한 사람의 글을 읽었는데 160번 전화해서 간신히 연결됐다고 하더라"며 "예약 받는 분이 축하한다고 했다더라"고 전했다. 이어 "나는 열댓번 전화하다 포기 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성락원 관람은 6월11일까지 매주 3일(월·화·토) 하루 7차례, 회당 20명 이하로 1시간씩 이뤄진다. 매일 최대 140명씩 22번(총 3080명)만 관람이 가능해 예약은 그야말로 전쟁이다.

관람 예약은 한국가구박물관(대표 02-745-0181) 유선 또는 이메일 접수(info.kofum@gmail.com)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한국가구박물관(02-745-0181) 유선 또는 이메일(info.kofum@gmail.com)로 신청할 수 있다.

관람료는 1만원이다. 

  

-성락원 관람 신청 예약 방법 및 요금- 

운영기간: 2019년 4월 23일 ~ 6월 11일까지

관람시간: 매주 월, 화, 토 오전 11시~오후 6시까지

소요시간: 1시간(성락원 45분, 꼭두 특별전 15분)

관람방식: 사전예약에 의한 가이드 투어 방식(문화해설자 진행)

관람인원: 1회 최대 20명

관람동선: 정문→쌍류동천, 용두가산→영벽지→송석정 연지→송석정(꼭두 전시) 관람→다정→영벽지→정문

관람비용: 1만 원(현장에서 현금결제 또는 사전 계좌 입금)

관람신청

- 한국가구박물관 유선(대표 02-745-0181) 또는 

- 이메일 접수(info.kofum@gmail.com)

http://j.mp/2vqT4Co

 

 

성락원(城樂園)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288

 

반응형
LIST

+ Recent posts